네이버 모바일 테스트 이야기
- 김지은, 박현정, 송경욱, 이상학, 전상현, 정상문 지음
- [email protected] 시리즈_012
- ISBN: 9791158390105
- 22,000원 | 2015년 09월 15일 발행 | 256쪽
네이버 개발자들이 전수하는 모바일 테스트 노하우!
이 책은 모바일 테스트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기술적인 방법과 도구를 네이버의 사례와 함께 설명한다. 일반적인 테스트 절차나 테스트 조직, 테스트 문서 산출물에 관한 내용은 모두 배제하고 '모바일 테스트는 어떻게 하면 되지?'라는 기본적인 질문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는 핵심적인 내용을 다뤘다.
모바일 앱, 모바일 웹 서비스에서 테스트 자동화, 리소스 측정, 사용자 체감 속도 측정 등 기능 테스트 외에 기술적으로 어떤 일을 수행하고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, 모바일 서비스를 개발할 때 비즈니스 로직 외에 고려해야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설명한다. 또한 모바일 서비스를 테스트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를 소개하고, 네이버에서 개발한 도구를 활용해 네이버 서비스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.
★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★
- 모바일 테스트 환경의 특징과 네이버의 대응 방법
- 모바일 테스트를 자동화할 수 있는 도구의 특징과 사례
- 전력, 메모리, 네트워크 트래픽 등의 모바일 리소스 사용량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방법과 사례
-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속도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방법과 도구, 사례
-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원격 모바일 테스트 환경의 특징과 도구, 사례
- 모바일 테스트에 도움이 될 다양한 팁과 사례
추천사
"국내에서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주제로 한 책 가운데 테스트 절차, 기법, 조직, 산출물, 템플릿과 같은 이론을 다루지 않고 이렇게 실용적인 주제를 다루는 책이 과연 얼마나 될까 따져 본다면, 감히 고유하면서 독보적인 콘텐츠를 다루는 책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입니다. 테스트 분야에서 혁신을 바라는 모든 이들에게 이 책이 실용적인 경험과 혁신에 대한 자극을 줄 것이라 확신하면서 이 책을 독자들에게 적극 추천합니다."
-- 김신애(NHN TECHNOLOGY SERVICES 글로벌테스트실 이사)
상세 이미지
김지은
네이버폰, N드라이브 등 PC 애플리케이션 테스트를 수행했다. 자동화 도구 웹쿠리(WebKuli) 개발에 참여하는 등 테스트 자동화 업무를 담당한다.
박현정
네이버 뮤직, 네이버 북스 등의 서비스와 글로벌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을 담당한다. 그 밖에 사용성 테스트를 이끌고 있으며, 네이버 서비스의 품질 관리 환경 기준을 수립하고 테스트 프로세스를 정비하는 등 품질 관리 업무 효율 개선에 힘쓰고 있다.
송경욱
2000년부터 테스트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. 모바일 서비스의 리소스 효율성에 관한 품질 관리를 책임진다. 실용적인 테스트 자동화 구현과 테스트 지원 도구 제작에 관심이 있다.
이상학
도돌런처, 밴드 등 테스트 업무를 담당했고 안드로이드 리소스 측정 도구 rMon을 개발했다. 현재는 modoo!의 품질 관리 업무를 맡고 있다.
전상현
네이버 북스 앱, 뮤직 앱, 웹툰 앱 등 다양한 앱의 품질 관리를 담당했고, 현재는 라인 웹툰 앱의 품질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. 모바일 앱의 품질 향상을 위한 테스트 자동화와 사용성 테스트, 리스크 기반 테스트 분야에 관심이 있다.
정상문
서비스 및 플랫폼의 성능 테스트와 성능 프로파일링을 담당했다. 모바일 테스트 자동화 도구를 개발했고 원격 모바일 테스트 도구 nMobile을 운영하고 있다.
- ▣ 1장: 모바일 환경과 테스트
- 모바일 환경의 특징
- 모바일 기기와 운영체제의 파편화
- 네트워크 형태의 다양성
- 모바일 브라우저의 다양성
- 하드웨어의 제약
- 모바일 서비스의 품질
- 모바일 품질 문제
- 모바일 서비스 종류에 따른 테스트 접근 전략
- 네이버의 모바일 테스트
- 테스트 프로세스
- 파편화에 대한 대응
- 크라우드 테스트와 클라우드 테스트
- 사용자의 정보 보호를 위한 활동
- 정리
- 모바일 환경의 특징
- ▣ 2장: 모바일 서비스 테스트 자동화
- 모바일 테스트 자동화 유형
- 모바일 앱 유형별 자동화 도구
- 자동화를 위한 구성 요소 식별 방법
- 안드로이드 테스트 자동화 프레임워크
- 크로스 플랫폼 자동화 도구
- 오픈소스 도구를 활용한 테스트 자동화
- 기본 테스트 환경
- Sikuli를 활용한 테스트 자동화
- UI Automator를 활용한 테스트 자동화
- Robotium을 활용한 테스트 자동화
- Appium을 활용한 테스트 자동화
- 네이버의 테스트 자동화 도구, 웹쿠리
- 웹쿠리 구조
- 웹쿠리의 특징
- 설치 및 실행
- 테스트 방법
- 테스트 실행 및 결과
- 웹쿠리를 이용한 N드라이브 앱 테스트 자동화 사례
- N드라이브 서비스의 특징
- 주요 시나리오
- CI 연동
- 정리
- 모바일 테스트 자동화 유형
- ▣ 3장: 안드로이드 모바일 리소스 측정
- 모바일 리소스 측정 도구 rMon
- rMon 다운로드 및 설치
- rMon 리소스 측정
- 측정 대상 설정
- rMon 실행 및 설정
- 전력 소모량 측정
- CPU 점유율 측정
- 메모리 사용량 측정
-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량 측정
- rMon 측정 사례
- 대기 상태에서의 전력 소모
- CPU의 비정상적인 점유
- 메모리의 비정상적인 상승 패턴
- 네트워크 유형에 따른 전력 소모 패턴
- 트래픽 발생 주기
- 푸시 세션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
- 콘텐츠 크기에 따른 리소스 소모
- 두 가지 프로세스로 실행되는 동작
- 시스템 프로세스와 연계된 측정 사례
- rMon을 활용한 속도 측정 사례
- rMon 측정 오류 사례
- 하드웨어 측정 사례
- 정리
- ▣ 4장: 모바일 프런트엔드 성능 측정
- 프런트엔드 성능과 사용자 만족도
- 프런트엔드 성능 측정 방법
- 사용자 체감 속도 측정 도구
- 웹페이지테스트
- GTmetrix
- 네이버의 프런트엔드 성능 측정 도구, NSpeed
- NSpeed 구조
- 모바일 웹 페이지 성능 측정
- 모바일 앱 성능 측정
- 네이버 모바일 웹 성능 측정 사례
- 네이버 앱스토어 모바일 웹 성능 측정 사례
- 정리
- ▣ 5장: 원격 모바일 테스트
- 모바일 테스트 환경의 어려움
- 에뮬레이터와 시뮬레이터를 사용한 테스트
- 실제 기기를 연결한 테스트
- 원격 모바일 테스트
- Perfecto Mobile을 활용한 원격 모바일 테스트
- 네이버의 원격 모바일 테스트 도구, nMobile
- nMobile 구성
- nMobile 활용 사례
- 정리
- 모바일 테스트 환경의 어려움
- ▣ 부록A: 모바일 테스트 팁
- 안드로이드와 iOS, 환경별 특성에 따른 유의 사항
- 되돌리기 키의 유무
- 위젯 설정
- 웹 브라우저 선택
- 네트워크 테스트
- 셀룰러 네트워크와 Wi-Fi 네트워크 간의 전환
- 네트워크 연결 강도가 약한 경우
- 네트워크 연결이 끊긴 상태
- 사용할 수 없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
- 인터럽트 테스트
- 앱 사용 중 전화, 문자, 푸시 알림 수신
- 두 가지 앱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
- 메모리 테스트
- 메모리 카드 테스트
- 안드로이드와 iOS, 환경별 특성에 따른 유의 사항
- ▣ 부록B: 모바일 앱 크래시 관리
- 앱 크래시 관리 도구
- 크래시리틱스
- 스플렁크 모바일 인텔리전스
- 크리터시즘
- 하키앱
- 네이버의 앱 크래시 관리
- 앱 크래시 수집
- 앱 크래시 지표 활용
- 앱 크래시 관리 도구
- ▣ 부록C: iOS 모바일 리소스 측정
- iOS 리소스 측정 방법
- iOS 리소스 측정 범위
- iMon 리소스 측정
- CPU 점유율 측정
- 메모리 사용량 측정
- 네트워크 트래픽 발생량 측정
- Instruments 리소스 측정
- 시스템 데이터
- 프로세스 데이터